
1. 제약사 단독 운영 기준 ‘세계 최대 AI 팩토리’ 출범
글로벌 제약사 Eli Lilly and Company(릴리) 는 NVIDIA(엔비디아) 와 협력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을 도입했습니다.
이번 AI 팩토리는 1 016 개의 NVIDIA Blackwell Ultra GPU 가 장착된 DGX SuperPOD 시스템으로, 제약사 단독 운영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입니다.
릴리는 이를 통해 유전체 분석, 맞춤의학, 신분자 설계 등 복잡한 생명과학 연산을 가속화하며, AI 모델을 활용한 ‘가상 실험실’을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2. Lilly TuneLab – 데이터를 보호하며 공동 학습하는 AI 플랫폼
릴리의 핵심은 AI 및 머신러닝 플랫폼 ‘Lilly TuneLab’ 입니다.
이 시스템은 릴리가 보유한 방대한 임상 및 실험 데이터(약 10억 달러 가치 추정)를 활용해 AI 모델을 학습시키며, 외부 바이오텍 기업들도 해당 모델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특히 NVIDIA FLARE 기반 연합 학습(federated learning) 기술이 적용되어, 참여 기업들은 자체 데이터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도 공동 AI 훈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프라이버시 와 지식재산 보호 양측을 충족시키는 혁신적 협업 모델로 평가됩니다.
3. 적용 영역: 신약개발을 넘어 디지털 트윈과 물리 AI 까지
릴리의 AI 팩토리는 신약 탐색뿐 아니라 임상 시험 자동화, 의료영상 기반 정밀의료, 유전자 치료 설계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활용됩니다.
이전에는 수개월 걸리던 이미지 기반 분석이 AI 팩토리에서는 수일 이내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릴리는 NVIDIA Omniverse 를 활용해 공장과 생산 라인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축하고, Isaac 로봇 플랫폼 및 NeMo AI 에이전트 를 도입해 생산, 물류, 품질검사 전 단계를 자동화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물리적 AI(Physical AI)’ 가 본격적으로 제약산업에 도입된 것입니다.
4. 법률적 시사점: AI 제약협력 시대의 계약 리스크
AI 인프라가 제약사의 핵심 자산으로 편입되면서, 다음 과제들이 법률적 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 소유권 및 사용 허락범위 명확화
- AI 모델 성과물에 대한 지식재산권 귀속 정의
- 연합 학습 참여자 간 책임 분담 및 손해배상 기준
- 데이터 유출 또는 AI 오류 시 법적 책임 범위 설정
따라서 한국 바이오기업이 이와 유사한 글로벌 AI 협업에 참여할 경우, 계약 초기 단계에서의 법률 검토 및 데이터 관리 체계 수립이 필수적입니다.
5. 경제적 의미 및 산업 영향
이번 AI 팩토리는 미국 인디애나 주 신규 시설 4곳과 함께 건립되는 ‘Lilly Medicine Foundry’(총 45억 달러 규모)프로젝트의 핵심 축입니다.
이를 통해 1만 3천 개 이상의 고임금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릴리는 CB Insights 기준 ‘AI 준비도 1위 제약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6. 결론: AI 신약개발 시대, 법률과 기술의 새로운 교차점
이번 릴리–엔비디아 협업은 단순한 기술도입이 아닌 제약산업의 AI 기반 재편을 상징합니다.
AI 팩토리와 데이터 공동학습 모델은 새로운 혁신의 기회이자 법적 리스크의 출발점입니다.
바이오기업들은 이제 AI 협업 계약, 데이터 보호, 지식재산 관리 전략을 동시에 고려해야 합니다.
참고 출처:
NVIDIA Blog – Lilly Deploys World’s Largest AI Factory for Drug Discovery (2025-10-28)
'업계동향 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Global News] 미국 정부 셧다운과 USPTO 운영 영향 (0) | 2025.10.04 | 
|---|---|
| [Korean News] 새 정부 출범, 제약바이오 산업에 불어올 변화 5가지 (4) | 2025.06.04 | 
| [Global News] 모더나 차세대 코로나 백신 mNEXSPIKE 제한 승인 – 한국 도입 가능성은? (2) | 2025.06.03 | 
| [Global News] FDA의 AI 도입: 제약·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규제 패러다임 (0) | 2025.05.09 | 
| [Global News] 동물실험 없는 신약개발, 미국은 시작했다… 한국 제약사의 대응 전략은? (0) | 2025.04.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