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명정보처리가이드라인 빅데이터, AI 등 다양한 융・복합 산업에서의 데이터 이용 수요가 급증하고, 데이터 활용의 핵심인 가명정보 활용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체계적인 데이터 활용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데이터 활용에 필요한 가명처리 기술·절차·관리체계 등을 구체적으로 안내하여 개인정보보호는 더욱더 강화하고 안전한 데이터 활용기반을 위해 2020.08.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발행한 가명정보처리가이드라인을 첨부합니다. 더보기 AI BI를 활용한 약물 재창출 기술 특허 분석 특허청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약물재창출 방법」 특허분석 결과 발표 하였습니다. 과제의 목적은 AI 및 BI를 이용한 약물 재창출 기술과 관련된 최신 연구 동향을 코어 정보를 중심으로 기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과 동시에 이를 관련 분야 산학연과 공유함으로써 향후 국내에서 포스트 코로나 등에 대비한 약물 재창출 사업의 대응 전략 수립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해당 문서 ' AI BI를 활용한 약물 재창출 기술 특허 분석'는 하단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www.kipo.go.kr/kpo/BoardApp/UCovidApp?c=1003&seq=34 더보기 개정 데이터 관련법 주요 내용 2020년 8월 5일, 개정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벌률(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신용정보법)(통칭 ‘데이터 3법’)이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 중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의 간략한 개정 내용을 요약해보았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1) 특징 ▪산업적 목적을 포함하는 과학적 연구, 시장 조사 등 상업적 목적의 통계 작성, 공익적 기록 보관 등의 목적으로 가명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 ▪개인정보 오남용 유출 감독기구: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 통일, 국무총리 소송 중앙행정기관으로 격상. ▪관련 법률 유사 중복 규정은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일원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내 개인정보 보호 규정 삭제. 2) 구체적 개정..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