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M&A 썸네일형 리스트형 [YouTube]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함께하는 [이우진의 법률 Talk] “제약바이오 기업 인수합병(M&A) 이슈”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제약바이오기업의 M&A'를 주제로 영상을 함께하였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하기 링크를 확인하여 주시고 궁금하신 사항은 언제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ntroducing my latest video partnering with the ‘Korean Pharmaceutical and Bio-pharma Manufacturers Association’ on 'Mergers & Acquisitions of pharmaceutical and life science companies'. https://www.youtube.com/watch?v=Pwdpyq71ngY&t=27s #제약바이오 #제약바이오뉴스 #제약바이오변호사 #변호사 #제약바이오M&A #제약바이오인수합.. 더보기 [제약바이오 시장] 제약바이오 M&A, 새롭게 고려해보아야 할 사항은? 안녕하세요, 올해는 제약바이오 업계의 M&A 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견하고 있는데요, 코로나 판데믹 시기 이후 변화하는 시장의 특징과 M&A거래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파괴적 기술, 'Disruptive Technology'의 등장 ‘파괴적 기술’이란 기존의 제품이나 기술을 대체할 정도의 혁신성을 가진 기술을 의미하는데요, 인류의 기술발전 역사에 늘 등장해왔고, 우리가 마땅히 이루어 나가야하는 과업이긴 하지만, 현재 많은 액수의 자금과 시간을 투자하여 개발과 상업화를 목적하고 있는 제약바이오기업에 이러한 기술의 등장이 반드시 긍정적인 영향만을 준다고 볼 수는 없겠습니다. 파괴적 기술, 예를 들어 인공지능 플랫폼의 도입이나 3D 프린팅과 같은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전통적으로 개발.. 더보기 [지식재산] 제약바이오 기업의 IP Due Diligence (지식재산권 실사) 안녕하세요, 최근 제약바이오 업계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간 M&A나 Open Innovation 이 활발해짐에 따라 투자계약이나 기술이전 계약 등 다양한 거래 계약의 성공적 체결을 위한 Due Diligence, 실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Due Diligence 과정을 통해서 매수인, 투자자 또는 기술의 양수인이 대상거래 기업구조나 영업, 특허, 기술에 대하여 정확히 그 권리구조를 이해하고, 수익이나 리스크를 포함한 가치를 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제약바이오기업은 어느 비즈니스보다 '기술'의 가치와 경쟁력에 의존도가 높은 사업화를 진행하기에 소유 기술 혹은 관련 지식재산권을 자세히 검토하고 분석할 수 있는 IP Due Diligence의 중요도가 상당히 높다 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