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계약 Legal English 카테고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문협상용어] 영문 계약 협상 에티켓 (Contract Negotiation Etiquette) 1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많은 고객께서 문의를 주시는 영문 계약의 협상 에티켓에 대한 경험과 의견을 나누고자 합니다. 다수의 고객께서 법무 검토를 의뢰해주시는 경우 계약서의 작성이나 초안 검토를 의뢰해주시는 것이 일반적이고, 관련 검토 내용이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수단이 되는 이메일의 작성 방식이나 코멘트의 전달 방식(구두 포함)에 대하여는 특별히 문의를 별도로 주시지 않는 한 대부분의 변호사들이 해당 실무적인 이메일이나 대화에 참여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습니다. (참고로, 관련 협상 과정이 각 법인 또는 대표자의 경영판단적 성격에 해당하는 경우 더욱 그러하겠습니다) 간혹 제 자문 고객들께 검토 의견을 전달드리는 경우, 고객께 이득이 되는 수정이 확실한 경우에는 제가 직접 상대방에게 문의/제안하는 관련.. 더보기 [영문법문서작성] The Adobe Legal Department Style Guide 안녕하세요, Adobe사에서 발간한 어도비 법률 부서 스타일 가이드를 공유드립니다. 본 스타일 가이드는 명확한 영문 법문서 작성에 관한 안내서로 모국어가 영어가 아닌 실무자들이 영문 법문서를 작성하고자 할 때 참고하시면 좋을 자료입니다. 개인적으로 실무상 활용도가 높았던 내용은 "Avoid legalese or archaic English, use everyday words." 라는 조언이 담긴 다음의 페이지입니다. 하기 링크를 통해 파일 다운로드 해주십시오. https://www.adobe.com/content/dam/cc/en/legal/documents/ADOBE-LEGAL-STYLE-GUIDE.pdf 더보기 [영문협상용어] 계약 협상(Contract negotiation)시 유용한 문구 (2)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지난 영문계약의 초안 작성이나 검토에 활용할 수 있는 용어나 협상문구에 이은 두번째 글입니다. 의뢰인들의 영문계약을 검토하다보면 계약 내 문구 자체에 대한 수정에 관하여 상대방측에 설명하거나 해명, 요구하는 코멘트의 제안이나 작성, 아이디어를 요청해주시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상대방의 의견에 대하여 수락이 어렵거나 강한 부정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설명이나 해명을 덧붙여야 상호 원만한 관계 속에서 계약협상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계약서를 첨부한 이메일이나 Cover letter, 계약서 내 코멘트는 주의해서 작성하셔야할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완곡한 거절, 부정을 위하여 다음의 용어나 문장들을 참고하시어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영문계약에서 자주 사용되는.. 더보기 [영문협상용어] 계약 협상(Contract negotiation)시 유용한 문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문계약의 초안 작성이나 검토에 활용할 수 있는 용어나 협상문구를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계약서 조항의 수정 자체보다는 수정하고자 하는 조항을 설명하고자 하는 계약내 메모, 이메일이나 유선상 대화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사용하시는 늬앙스에 따라 협상 강도가 달라질 수 있어 협상전략에 따라 유의하여 사용하시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아래 용어와 문장들을 참고하시어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영문계약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 및 제약바이오 영문 용어들을 제 유튜브 페이지나 인스타그램에서도 함께 소개드리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9zlqcalZ_cOBgx8j0k28zw) 및 ◆ .. 더보기 [계약협상] 계약서 작성 전 놓치기 쉬운 협상 전략- Last Call, 최선입니까? (3) 이번 포스팅은 계약 협상 담당자들이 가장 흔히 접하는 상대의 협상 전략인, 상대의 last call ('이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니 받아들이시지 않으면 어쩔 수 없습니다'라는 표현의 제안)에 대한 대응에 관한 것입니다. 필자 또한 협상과정에서 빈번히 상대방에게 받았던 응답으로, 이는 특히 소위 말해 '갑'의 위치가 확고한 상대방과의 계약에서 더욱 자주 접하게 됩니다. 위에서 언급드린 last call의 예시 외에도 다양한 표현이 있습니다. - " 회사의 방침이므로 제 선에서 더 이상 귀하의 제안을 수용할 수 없습니다" - " 경영진에서 마지막으로 제안한 마지노선입니다" - " 이것이 저희가 제안하는 최선의 딜입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상대의 의사표현을 접하는 경우 대부분 협상 담당자들은 .. 더보기 [계약협상] 계약서 작성 전 놓치기 쉬운 협상 전략- Pace Control (2)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충하는 조건에 관한 협상시 상대방과의 호흡을 어떻게 조절(Pace Control)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나누고자 합니다. 계약을 작성하기 전 또는 계약 초안을 검토하는 단계에서는 상대방 의견과 상충하는 내용도 많고 의견을 조율하는 것이 쉽지 않은 순간이 올 텐데요, 내용 자체에 대하여 누가 더 양보할지, 어떠한 내용을 새로이 제안하여 상대방의 수긍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대한 '실체적' 고민은 당연히 필요하겠습니다만, 이러한 내용을 관철시키기 위해 도움이 되는 형식적 또는 절차적 방법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지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아시겠지만 조건의 상충 정도나 내용에 따라 상대방과 계약이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고, 빠른 체결을 원하는 데 반하여 체결까지 지리한 기간이 소요되는.. 더보기 [계약협상] 계약서 작성 전 놓치기 쉬운 협상 전략 - Anchoring (1) 안녕하세요, 이번 및 향후 포스팅에서는 계약 협상 또는 초안 작성을 담당하시는 분들께서 많은 질문을 주신, 계약 전 협상 전략에 관한 내용을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제 업무에 있어서 처음부터 계약 협상의 주요 결정사항을 아직 결정하지 못하신 상태에서 어드바이스를 구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일반적으로 계약 초안 작성이나 검토를 의뢰받을 시점에서는 이미 관련 비즈니스팀에서 계약서의 골자 또는 텀싯(Term sheet)을 거의 완성한 상태에서 검토를 요청받는 경우가 대부분이긴 합니다. 그러나 텀싯을 상호 완전히 합의하였다 하더라도, 계약서의 문구 작성 또는 추가 조항을 작성하면서, 또는 관련 계약이 후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이미 합의하였던 조항이 바뀌는 경우도 있고, 합의한 내역에 따라 작성한 계약이 상대방의 검토.. 더보기 [영문법률용어] 영문계약에서 자주 쓰이는 관용구 (1)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문계약에서 자주 쓰이는 문구들을 정리해 나가고자 합니다. 일반적인 글이나 대화 중 사용되는 표현도 있으나,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는 문구도 있어 때로 해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몇가지 소개드립니다. 앞선 "Legal Terminology" 포스팅과 같이 추가적 업데이트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소개드리는 "Legal Terminology" 중 특히 "Legalese" (legal jargon으로서 주로 영미 변호사들이 계약서에 전통적으로 사용하며 일반인들이 일상에서 잘 사용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운 어휘/문구) 에 관하여는 별도의 정리된 포스팅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영문계약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 및 제약바이오 영문 용어들을 제 유튜브 페이지.. 더보기 이전 1 2 다음